토스쇼핑의 신규/업데이트 서비스의 검수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 후 결과 공유까지, 전 과정을 주도해요.
Commerce Domain 전체의 QA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운영해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을 즉시 시도하고 실현해요.
이런 분과 함께하고 싶어요
이커머스 관련 서비스 QA 경력이 있으면 좋아요.
하나 이상의 앱 또는 웹 서비스에 대한 시작부터 릴리즈, 업데이트까지의 전반적인 경험이 필요해요.
배포 주기가 빠른 서비스 및 변경이 잦은 서비스에 맞추어 적합한 QA 프로세스를 수립하거나 개선한 경험이 있으면 좋아요.
이력서는 이렇게 작성하시는 걸 추천해요
프로젝트의 릴리즈를 위해 QA로서 본인이 기여하고 집중한 부분과 성과(또는 실패 이후의 개선 사례)를 알고 싶어요.
다양한 기술 스택이 있다면 스택 나열보다는, 해당 기술을 실제 QA에 어떻게 활용했는지 작성해 주세요.
포트폴리오를 같이 제출하시는 경우 현/전 직장의 대외비(테스트 케이스)는 첨부하지 말아주세요.
토스로의 합류 여정
서류접수 > 직무 인터뷰 > 문화적합성 인터뷰 > 레퍼런스 체크 > 처우협의 > 최종합격
직무 인터뷰 전형에는 '라이브 과제'가 함께 진행됩니다. 약 50분 동안 화상 인터뷰 툴을 이용하여 수행하시게 됩니다.
함께할 동료를 위한 한마디
"토스 제품의 품질을 보증한다."
품질 보증이라는 넓은 의미 안에서 토스의 QA Manager는 한계 없이 생각하고 자유롭게 시도해볼 수 있어요. 단순히 테스트와 자동화의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봇 생성을 통해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합니다.
저는 기존의 방식만을 고수하며 천편일률적으로 일하는 QA 문화에 답답함을 느껴 토스에 합류했어요. 입사 초반에는 업무를 위해 아낌없이 지원해준다는 점에 가장 놀랐어요. 보통 외부 툴을 사려면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로 먼저 설득해야 했거든요. 툴 없이도 QA가 가능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하기도 하고요. 토스에서는 이러한 과정 없이 무척이나 간단하게 툴을 도입할 수 있었어요.
QA 팀원들 개인의 역량이 뛰어나기 때문에 사고의 한계가 없다는 점도 개인적으로 가장 만족하고 있는 부분이에요. '이게 가능할까?' 하는 것도 팀원들과 함께라면 가능하더라고요!
토스의 제품들은 배포 주기가 빠르고 금융 관련이라 민감한 부분들도 있다 보니, QA의 중요성이 더 부각된다고 생각해요. 토스에서라면 QA에 대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슴 뛰는 목표를 함께 이뤄갈 분들 언제든 환영합니다!